6월, 2024의 게시물 표시

치매환자의 식사는 어떻게 도와줘야 하나요?

이미지
    경도인지장애 혹은 경도 치매환자의 경우 식사는 어떻게 도와줘야 하나요? 치매환자는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식사를 준비하는 기능에서부터 음식을 씹고 삼키는 기능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기능이 쇠퇴하여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가족 혹은 보호자는 치매 환자의 식사와 관련되어 남아 있는 기능과 쇠퇴한 기능을 파악해 어떤 동작을 도와주어야 하는지, 어떻게 도와주어야 하는지 등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치매 환자의 식습관을 미리 파악하여 가능한 한 정해진 시간에 식사하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치매 환자가 식사 도중에 배회하거나, 먹는 것을 가지고 놀거나, 한 가지 음식만 먹을 때가 있습니다. 이는 치매 환자의 집중 시간이 짧고 음식이 먹는 것임을 잊어버리거나 지루해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그리고 치매 환자에게 나타나는  음식과 관련된 이상 행동은 다식(多食), 빈식(頻食), 과식(過食), 도식(盜食), 이식(異食), 불식(不食), 거식(拒食)입니다.  이럴 때는 주위가 산만하지 않게 텔레비젼을 꺼서 환자가 식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너무  오랫동안 음식을 차려 놓고 식사를 권하기보다는 정해진 시간에 식사하고 치우도록 합니다.  또한,  환자가 식사를 거부할 때 강제로 먹이거나 화를 내면서 식사를 치워 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꼭 기억하십시오. 치매 환자들은 주로 과식(過食) 또는 다식(多食)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왜 그런가요? 이는 병변 부위에 따라 각기 다른 증상들을 보일 수 있습니다. 과식 또는 다식의 증상을 보이는 치매 환자들은 포만감을 느끼게 해 주는  시상하부의 포만중추에 손상 을 입은 데다가  일화 기억(epiosdic memory)에 장애 가 생겨 자신이 방금 먹었다는 사실을 잊어버립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좋은 대응의 예시 1. "지금 가서 준비할게요!"라고 하면서 부엌에서 저열량의 차나 간식을 준다.  2. 적극적으로 말을 걸거나, 산책하러 다녀오자는 말을 하면서 주의를 돌리거나 지

알츠하이머 환자를 대하는 자세

이미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합니다. 도움이 필요한 동작은 보조 해 주어야 합니다. 규칙적인 생활을 유지합니다. 따뜻하게 응대하고 치매 환자의 생활을 소중히 여깁니다. 1. 이성적인 성인으로 대한다. 2. 가르치려 들지 말고, 천천히 알아들을 수 있는 단어를 사용하여 환자가 이해할 수 있게 말한다. 3. 짧은 문장으로 명확하되, 구체적으로 말한다. 4. 복잡한 판단이나 기억이 많이 필요한 사실은 묻지 않는다. 5. 대답은 충분히 기다리고, 환자의 대답이 틀렸다고 지적하지 않는다. 6.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수정해 주지 않는다. (자신의 실수를 반복하여 떠올리는 것은 환자를 의기소침하게 한다.) 치매라고 확실히 전달하는 것보다 '나이 탓' 이라고 설명해 주세요. . . 👵 아내의 치매로 두 딸과 남편의 고민 https://byungmu.blogspot.com/2023/10/blog-post.html